[AWS] SQS로 비동기로 요청 처리하기
·
AWS
내가 현재 구현중인 프로젝트는 '수강신청'을 받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수강신청이 몰리는 시간대(수강신청 오픈 직후로부터 1시간동안)에는 비동기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1. AWS 설정1.1 SQS 권한 IAM 사용자 생성IAM > 사용자 > 사용자 생성"AmazonSQSFullAccess" 정책을 가진 IAM 사용자를 생성해준다. 1.2 SQS 대기열 생성Amamzon SQS > 대기열 > 대기열 생성표준 큐를 선택해서 만들었다. 초기에는 표준큐로 구현했지만, 수강신청 특성상 순서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FIFO 큐로 변경하였다. 암호화는 "비활성화"를 선택하고, 액세스 정책은 "지정된 AWs 계정, IAM 사용자 및 역할만"을 선택했다. 안에 값에는, 위에서 생성한 sqs권한 사..
[AWS][트러블슈팅]"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도메인 정지 문제 해결
·
AWS
지난번 포스팅에서 처럼, 도메인을 구매해서 잘 사용중이었는데 팀원중 한명이 갑자기 사이트 접속이 안된다고 연락이 왔다. 백엔드 서버와 프론트 서버는 잘 들어가지는데 이를 연결한 도메인 주소로만 접속이 안되는 상태. 시도 1 ❌: AWS 설정 확인 현재 사용중인 인스턴스의 보안 그룹이나, ALB의 보안 그룹 모두 기존과 동일했고, Route53에 등록된 레코드들 모두 변경된 점이 없었다. 그리고 백엔드에서 배포했을 때도 로그를 살펴보았을때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리고 내가 도메인을 등록하고 딱 14~15일 뒤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거라, 처음에는 인증서들의 유효기간을 의심했었지만 문제되는 지점은 없었다. 시도 2 ❌: 가비아 도메인 설정 확인가비아의 설정 페이지에서, 내가 구매한 도메인의 설정을 확인했..
[AWS] 리액트 프론트 배포(S3+CloudFront), 가비아 도메인 https 연결하기(route53)
·
AWS
목표: 구매한 도메인으로 프론트 배포하기React로 개발한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를 사용자가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S3 + CloudFront + Route53 + 사용자 도메인을 이용해 배포하고자 한다.0. 도메인 구매임의의 긴 S3 URL 대신 www.example.com 같은 직관적인 주소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https://www.gabia.com/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www.gabia.com 가비아는 원하는 도메인 주소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이트이다. 원하는 도메인 이름이 "studying404"라면, 위와 같이 다양한 가격의 여러 도메인을 추천해준다. 나는 1년에 2500원 (+부가세 250원) 짜리 도메인을..
[AWS] EC2 -> Amazon Aurora for RDS Serverless 생성 및 연결
·
AWS
1.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 표준생성, Aurora MySQL, 개발/테스트 버전을 선택해준다.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설정해주고, 마스터 사용자의 이름을 지정해준다. 나는 기존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의 계정과 통일하기 위해 이름을 위와 같이 설정했다. 그리고 나는 프로젝트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자체 관리로 마스터 암호를 설정했다. 이 경우, rds 인스턴스의 비밀번호를 따로 또 설정해줘야한다. 나는 서버리스 rds를 선택할 것이기 때문에, 서버리스 v2로 인스턴스를 설정해준다. ACU (Aurora Capacity Unit)는 Aurora Serverless의 스케일 단위로, 예를 들어, 1ACU로 10분간만 요청이 있었다면 → 그 10분만 과금된다. 나는 큰 규모의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에 일단 0~..
[AWS] 탄력적 IP 주소 v.s. 자동 할당 IP 주소
·
AWS
탄력적 IP vs 자동할당 IP, 무엇이 다를까?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사용할 때 퍼블릭 IP는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개념이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퍼블릭 IP에도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탄력적 IP (Elastic IP)자동할당 공인 IP (Auto-assigned Public IP)처음에는 둘 다 단순히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IP"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용 목적과 과금 구조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는 두 IP 방식의 개념, 사용 시점, 과금 구조를 중심으로 비교해본다. 개념 정리✅ 자동할당 IP란?EC2 인스턴스를 퍼블릭 서브넷에 생성하면, AWS가 자동으로 공인 IP를 할당한다.이 IP는 인스턴스를 중지하거나 재시작하면 사라지고, 다시 시작할 때는 다른 IP가 할당된다.따라서 ..
[AWS] NAT Gateway 대신 NAT Instance로 비용 절감하기 (2025 ver)
·
AWS
1. NAT Gateway 개념과 비용NAT게이트웨이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서비스로,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면 프라이빗 서브넷의 인스턴스가 VPC 외부의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지만,외부 서비스에서 이러한 인스턴스와의 연결을 시작할 수는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빗 서브넷에 인스턴스를 둘 경우, 인스턴스가 외부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NAT가 필요하다.(예: yum update, apt update 등) 이때, AWS에서 제공하는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면 되지만 꽤 비싼 리소스다. 서울 리전 기준으로,시간당 요금은 0.059$처리된 데이터 GB당 요금은 0.059$서로 다른 리전간 데이터 전송 시 요금이 발생한다.따라서 데이터 처리 없이 NAT Gate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