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트러블슈팅]"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도메인 정지 문제 해결
·
AWS
지난번 포스팅에서 처럼, 도메인을 구매해서 잘 사용중이었는데 팀원중 한명이 갑자기 사이트 접속이 안된다고 연락이 왔다. 백엔드 서버와 프론트 서버는 잘 들어가지는데 이를 연결한 도메인 주소로만 접속이 안되는 상태. 시도 1 ❌: AWS 설정 확인 현재 사용중인 인스턴스의 보안 그룹이나, ALB의 보안 그룹 모두 기존과 동일했고, Route53에 등록된 레코드들 모두 변경된 점이 없었다. 그리고 백엔드에서 배포했을 때도 로그를 살펴보았을때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리고 내가 도메인을 등록하고 딱 14~15일 뒤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거라, 처음에는 인증서들의 유효기간을 의심했었지만 문제되는 지점은 없었다. 시도 2 ❌: 가비아 도메인 설정 확인가비아의 설정 페이지에서, 내가 구매한 도메인의 설정을 확인했..
[AWS] 리액트 프론트 배포(S3+CloudFront), 가비아 도메인 https 연결하기(route53)
·
AWS
목표: 구매한 도메인으로 프론트 배포하기React로 개발한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를 사용자가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S3 + CloudFront + Route53 + 사용자 도메인을 이용해 배포하고자 한다.0. 도메인 구매임의의 긴 S3 URL 대신 www.example.com 같은 직관적인 주소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https://www.gabia.com/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www.gabia.com 가비아는 원하는 도메인 주소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이트이다. 원하는 도메인 이름이 "studying404"라면, 위와 같이 다양한 가격의 여러 도메인을 추천해준다. 나는 1년에 2500원 (+부가세 250원) 짜리 도메인을..
[AWS] EC2 -> Amazon Aurora for RDS Serverless 생성 및 연결
·
AWS
1.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 표준생성, Aurora MySQL, 개발/테스트 버전을 선택해준다.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설정해주고, 마스터 사용자의 이름을 지정해준다. 나는 기존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의 계정과 통일하기 위해 이름을 위와 같이 설정했다. 그리고 나는 프로젝트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자체 관리로 마스터 암호를 설정했다. 이 경우, rds 인스턴스의 비밀번호를 따로 또 설정해줘야한다. 나는 서버리스 rds를 선택할 것이기 때문에, 서버리스 v2로 인스턴스를 설정해준다. ACU (Aurora Capacity Unit)는 Aurora Serverless의 스케일 단위로, 예를 들어, 1ACU로 10분간만 요청이 있었다면 → 그 10분만 과금된다. 나는 큰 규모의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에 일단 0~..
[AWS] 탄력적 IP 주소 v.s. 자동 할당 IP 주소
·
AWS
탄력적 IP vs 자동할당 IP, 무엇이 다를까?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사용할 때 퍼블릭 IP는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개념이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퍼블릭 IP에도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탄력적 IP (Elastic IP)자동할당 공인 IP (Auto-assigned Public IP)처음에는 둘 다 단순히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IP"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용 목적과 과금 구조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는 두 IP 방식의 개념, 사용 시점, 과금 구조를 중심으로 비교해본다. 개념 정리✅ 자동할당 IP란?EC2 인스턴스를 퍼블릭 서브넷에 생성하면, AWS가 자동으로 공인 IP를 할당한다.이 IP는 인스턴스를 중지하거나 재시작하면 사라지고, 다시 시작할 때는 다른 IP가 할당된다.따라서 ..
[AWS][트러블슈팅] TargetGroup Unhealthy, 504 Bad Gateway 문제 해결
·
AWS
최근 AWS에서 백엔드 배포를 수행하던 중, 문제가 있었다. 진짜 너무너무 싫은 오류... 확인해보니, Target Group에 연결한 인스턴스에 대한 Health Check가 실패하여,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 현재 상황보안을 위해 private subnet 내의 EC2 인스턴스에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구동 중EC2 인스턴스의 보안 그룹 (ssh, source: public subent의 IP CIDR) 현재 내가 구성한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다. ✅ 원인 분석curl http://localhost:8080/health (헬스체크 경로)로 확인하면 OK 응답이 나옴. = 프로젝트 이상 없음 따라서, ALB가 보내는 헬스체크 요청을 EC2가 받을 수 없는 상황임이 가장 유력한 이유였다. 정리..
[AWS][트러블슈팅] ALB의 Internet-facing vs Internal
·
AWS
열심히 구성을 다 하고 뿌듯한 마음으로 ALB의 엔드포인트로 연결을 했는데 안된다....... 타겟그룹도 healthy고 서비스도 제대로 다 떠있는데 처음엔 뭐가 문제인지를 몰랐다.세상이 날 억까하는줄.. 찾아보니, 로드밸런서에는 2가지 타입이 있다고 한다. Internal ALBVPC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 (인터넷 안됨) ❌Internet-facing ALB외부에서 도메인/IP로 직접 접근 가능 ✅ 즉, 웹브라우저를 통해 ALB로 접속할 수 있으려면 internet-facing ALB를 사용해야한다. 로드밸런서의 엔드포인트 주소로도 보이긴하지만, 로드밸런서의 체계(schema)를 확인해보니 역시 internal로 되어있었다. 따라서 현재 ALB가 아닌 internet-facing alb로 교체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