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 -> Amazon Aurora for RDS Serverless 생성 및 연결

2025. 7. 2. 23:15·AWS

1.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

 

표준생성, Aurora MySQL, 개발/테스트 버전을 선택해준다.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설정해주고, 

마스터 사용자의 이름을 지정해준다. 나는 기존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의 계정과 통일하기 위해 이름을 위와 같이 설정했다.

 

그리고 나는 프로젝트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자체 관리로 마스터 암호를 설정했다. 

이 경우, rds 인스턴스의 비밀번호를 따로 또 설정해줘야한다.

 

 

나는 서버리스 rds를 선택할 것이기 때문에, 서버리스 v2로 인스턴스를 설정해준다.

 

ACU (Aurora Capacity Unit)는 Aurora Serverless의 스케일 단위로,
예를 들어, 1ACU로 10분간만 요청이 있었다면 → 그 10분만 과금된다.

 

나는 큰 규모의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에 일단 0~2로 설정했다. (추후 조정 가능)

 

 

EC2 인스턴스와 RDS를 연결할 것이기 때문에, EC2 컴퓨팅 리소스에 연결을 선택한 뒤

 

연결할 인스턴스를 선택한다.

 

이렇게 인스턴스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VPC와 보안그룹이 선택된다. ( RDS보안그룹이 없을 경우 자동 생성된다.)

 

나머지는 기본 설정으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렇게 클러스터와 인스턴스 한 쌍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RDS에 연결해 db 생성

 

이 상태로 EC2에 접속해 바로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

 

ERROR 4013 --- [moyeorak] [ main] o.h.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 : Unknown database 'moyeorak_db'

 

해당 오류는 EC2에 RDS는 연결되었어나, 내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moyeorak_db라는 데이터베이스가 RDS에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따라서 RDS에 연결하여 db를 직접 생성하여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mysql -h [rds 엔드포인트 주소] -u [rds 생성 시 입력했던 관리자 계정명] -p

 

rds 생성 할때 입력했던 관리자 계정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해주면 되는데,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root@ip-10-0-139-108:/opt/moyeorak-BE# mysql -h goorm-rds-instance-1.c92y0sa8e7t2.ap-northeast-2.rds.amazonaws.com -u choi -p
Enter password:
ERROR 1045 (28000): Access denied for user 'choi'@'10.0.139.108' (using password: YES)

 

해당 오류 발생 원인 -> 새로 생긴 rds 인스턴스에는 암호 설정을 안해줬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인스턴스 > 수정

 

마스터 암호를 설정해준다.

 

인스턴스의 마스터 암호 설정 후, 다시 명령어를 통해 접속하면 mysql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접속 후, 아래 명령어를 통해 rds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준다.

 

더보기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명] CHARACTER SET utf8mb4 COLLATE utf8mb4_general_ci;

생성하면, 이렇게 데이터베이스가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ysql> CREATE DATABASE moyeorak_db CHARACTER SET utf8mb4 COLLATE utf8mb4_general_ci;
Query OK, 1 row affected (0.14 sec)

mysql> SHOW DATABASES;
+--------------------+
| Database           |
+--------------------+
| goorm_rds          |
| information_schema |
| moyeorak_db        |
| mysql              |
| performance_schema |
| sys                |
+--------------------+
6 rows in set (0.03 sec)

 

이후에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트러블슈팅]"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도메인 정지 문제 해결  (7) 2025.07.24
[AWS] 리액트 프론트 배포(S3+CloudFront), 가비아 도메인 https 연결하기(route53)  (2) 2025.07.08
[AWS] 탄력적 IP 주소 v.s. 자동 할당 IP 주소  (1) 2025.06.28
[AWS] NAT Gateway 대신 NAT Instance로 비용 절감하기 (2025 ver)  (0) 2025.06.28
[AWS][트러블슈팅] TargetGroup Unhealthy, 504 Bad Gateway 문제 해결  (2) 2025.06.28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트러블슈팅]"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도메인 정지 문제 해결
  • [AWS] 리액트 프론트 배포(S3+CloudFront), 가비아 도메인 https 연결하기(route53)
  • [AWS] 탄력적 IP 주소 v.s. 자동 할당 IP 주소
  • [AWS] NAT Gateway 대신 NAT Instance로 비용 절감하기 (2025 ver)
공부하는 나무꾼
공부하는 나무꾼
  • 공부하는 나무꾼
    헤맨 만큼 내 땅이다
    공부하는 나무꾼
  • 전체
    오늘
    어제
  • 글쓰기/관리
    • 분류 전체보기
      • AWS
      • SAA-C03
      • 네트워크 보안
      • 최신정보보안이론
      • 컴퓨터네트워크
      • OpenFaaS
      • C++
      • Java
      • HTML, CSS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정보보안인재양성
      • [MAC]트러블슈팅&Tip
      • 공부
      • Web(Django)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AWS
    웹클라이언트
    자격증
    WAS
    SAA-C03
    웹애플리케이션서버
    web application server
    웹서버
    Web Server
    클라우드
    cloud
    등록번호
    java #자바 #객체지향프로그래밍 #복습
    aws-c03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공부하는 나무꾼
[AWS] EC2 -> Amazon Aurora for RDS Serverless 생성 및 연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