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과 css가 완전히 다른 언어이기 때문에, 웹페이지에 css를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웹브라우저로하여금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css인지를 알게 해줘야 한다. 즉, css의 범위를 표시해주어야 한다.
첫번째는 tag를 이용하여 css의 범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style 속성: 반드시 그 값으로 css의 속성이 들어온다.
위와 같이 style태그가 직접 위치하는 경우, style태그가 위치하고 있는 태그에게 효과를 줄 것이기 때문에 선택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두번째는 속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style 태그: 속성만 있어서는 해당 효과를 누구에게 지정할지를 설명할 수가 없기 때문에, a{ } 코드를 추가하여 효과를 누구에게 적용시킬 것인지 지정해준다. => 선택자(selector)라고 부른다.
선택자에게 적용될 효과를 효과(declartation)라고 부른다. 효과를 지정한 후에는 반드시 ;(세미콜론)을 붙여 마무리한다.
하나의 선택자에 대하여 여러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Selector( 'a' ) : 웹페이지에 있는 모든 a태그를 선택한다는 점에서 선택자, selector라고 불린다.
Declaration( 'color:red;' ) : 선택자가 지정하는 태그들에 대해서 '어떤효과' 를 줄 것인지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Property( 'color' ) : 속성
Value( 'red;' ) : 속성의 값
'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선택자(class, id선택자) (1) | 2022.09.01 |
---|---|
[HTML] 웹서버 운영하기 (3) | 2022.07.26 |
[HTML] 인터넷과 웹, 웹호스팅 (1) | 2022.07.19 |
[HTML] HTML 기본 문법 정리 (2) | 2022.07.17 |